728x90
반응형
가. 물소화기
1. 종류
- 수동펌프식 : 수동펌프를 설치하여 물을 상하로 움직여서 방사하는 방식
- 축압식 : 수조(본체용기)에 물과 공기를 축압시킨 것을 방사하는 방식
- 가압식 : 본체용기와는 별도로 가압용가스(탄산가스)를 이용하여, 가스압력으로 물을 방출하는 형식
2. 소화원리
- 냉각작용에 의한 소화효과가 가장 크며, 증발하여 수증기로 되므로 원래 물의 용적의 약 1700배의 불연성 기체로 되기 때문에 가연성 혼합기체의 희석작용도 하게 된다.
나. 강화액 소화기
1. 종류
- 축압식 : 강화액 소화약제(탄산칼륨 수용액)를 정량적으로 충전시킨 소화기로서 압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지시계가 부착되어 있다.
- 가스가압식 : 축압식과 같으며 단, 압력지시계가 없으며 안전밸브와 액면표시가 되어 있는 소화기이다.
- 반응식 : 용기의 재질과 구조는 산, 알칼리 소화기의 파병식과 동일. 탄산칼륨수용액의 소화약재가 충전되어 있다.
#. 강화액은 -25℃에서도 동결하지 않으므로 한랭지에서도 보온의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탈수, 탄화작용으로 목재, 종이 등을 불연화하고 재연방지의 효과도 있다.
다. 이산화탄소 소화기
1. 소화약제(액화탄산가스)
- 탄산가스 함량 : 99.5% 이상
- 수분 : 0.05 중량 % 이하
# 수분 0.05 % 이상이면 수분이 결빙하여 노즐을 폐쇄(줄 - 톰슨 효과)한다.
2. 소화원리
- 질식, 냉각, 피복작용에 의해 소화된다. CO2 Gas가 방출되면 드라이아이스 상태가 될 때 온도는 -78.5℃까지 급격히 냉각된다. CO2 소화기는 유류화재 및 전기 절연성이 아주 좋기 때문에 전기화재에도 효과가 있다.
라. 할로겐화합물 소화기
1. 종류 ( 수동펌프식, 수동축압식, 축압식 )
2. 할로겐화합물 약제의 구비 조건
- 비점이 낮기 기화되기 쉬운 물질일 것
- 공기보다 무겁고 불연성일 것
- 증발잔유물이 없어야 할 것
마. 분말 소화기
1. 종류
- 축압식 : 용기의 재질은 철제. 용기에 분말 약제를 채우고 질소(N2) 가스로 충전되어 있다.
- 가스가압식 : 용기는 철제. 탄산가스(CO2)를 압력원으로 사용한다.
2. 소화 효과
- 이산화탄소와 수증기에 의한 산소차단 => 질식효과
-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발생 시 흡수열에 의한 냉각효과
- 나트룸염(Na+), 칼륨(K+)의 금속이온에 의한 부촉매 효과
바. 포소화기(포말소화기)
1. 종류(화학포) [ 보통 전도식, 내통 밀폐식, 내통 밀봉식 ]
2. 포말의 조건
- 기름보다 가벼우며, 유류와의 접착성이 좋아야 한다.
- 바람 등에 견디는 응집성과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.
- 열에 대한 센막을 가지며 유동성이 좋아야 한다.
- 독성이 적어야 한다.
사. 간이 소화제
1. 건조된 모래(만능 소화제)
- 반드시 건조되어 있을 것
- 가연물이 함유되어 있지 않을 것
- 부속 기구로서는 삽과 양동이를 비치할 것
2. 팽창질석, 팽창진주암
- 발화점이 낮은 알킬알루미늄 등의 화재에 사용되는 불연성 고체로서 비중이 아주 적다.
3. 자동확산 소화기
- 약제는 파병식(불연성 염류의 용액), 분사식(할로겐화합물, 분말소화제)으로 구분하며 보일러실, 주방의 화기사용 장소의 상부에 주로 설치한다.
728x90
반응형
'위험물 기능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제 1류 위험물(산화성 고체) - 기본 (0) | 2019.09.07 |
---|---|
소화기 사용법 및 유지관리 (0) | 2019.09.06 |
위험물의 소화방법 (0) | 2019.09.04 |
분말 소화약제 (0) | 2019.09.03 |
제 4류 위험물(인화성 액체) - 특수인화물 (0) | 2019.09.03 |